분류 전체보기590 leetcode 139. Word Break 정답 소스 class Solution: def wordBreak(self, s: str, wordDict: List[str]) -> bool: # ex) s : leetcode # s[0:7] n = len(s) print(s[7]) #dp[0:8] dp = [i==0 for i in range(n+1)] # i : 0 ~ 8 for i in range(n+1): # j : 0 ~ 7(max) for j in range(i): if dp[j] == True and s[j:i] in wordDict: dp[i] = True break return dp[-1] 문제 해결 idea dict의 단어 조합으로 만들어 질 수 있는 문자열 S의 subword를 2중 for문으로 찾고, 찾은 index+1의 dp 값을.. 2022. 3. 9. [데이터베이스] 질문 정리 1. 프로시저와 함수 프로시저 : 2. PL/SQL (Procedural Language extension to SQL)? 사용 이유 : DB에서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하는 단순한 행위는 SQL로 충분하다. 하지만 SQL 중간에 분기처리나 조회된 결과를 변수로 사용하거나 예외처리를 하는 기능은 없다. 이러한 SQL의 단점을 개선해서 나온 것이 PL/SQL이다. 주요 특징 1. SQL을 확장한 절차적 언어이다. 2. 여러 SQL을 하나의 블록으로 구성하여 SQL을 제어할 수 있다. (Commit, Rollback, 예외처리 등) 3. 조건문(IF), 반복문(LOOP)을 사용하여 유연한 프로그래밍이 가능하다. 4. 커서(Cursor)를 사용하여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할 때, 데이터를 분할하여 처리할 수 있다. .. 2022. 3. 9. [문제해결] v3 감염된 압축 파일의 치료방법이 치료 안 함 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.(코드 6001) 문제 발생 V3로 검사 실행 후 감염된 파일 발견하였으나 치료하기 위하여 감염된 파일 선택이 안 됨. "치료 안함(감염된 압축 파일의 치료방법이 치료 안 함 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.(코드 6001))" 문제 해결 순서1. 아래 첨부된 이미지 따라하여 치료방법 설정에서 감염된 압축 파일 설정이 '치료 안 함' 으로 되어 있던 걸 '삭제'로 설정 변경한다. 순서2. 재검사를 진행하면 이전과 달리 감염된 파일 삭제가 가능해진다. 위 방법으로 감염된 파일 삭제 잘 되서 제가 여러분의 불필요한 시간 낭비를 줄여드렸기를 바랍니다~ 아래는 위 가이드 작성하기 위하여 참조한 v3 공식 사이트 Q&A URL https://ask.ahnlab.com/hc/ko/articles/900001739846-V3-%EA%B2%80.. 2022. 3. 9. 깃 사용(add, commit) 시 /index.lock': File exists. 에러 나는 경우 git 사용 과정에서 충돌이 생겨 lock이 걸린 경우, .git 폴더 하단에 index.lock이라는 파일이 존재하는걸 확인할 수 있는데, index.lock 파일을 삭제하면 에러 발생하지 않는다. 2022. 3. 6. 이전 1 ··· 85 86 87 88 89 90 91 ··· 148 다음